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미사
[백] 부활 제4주일(성소 주일)
해마다 부활 제4주일은 ‘성소 주일’이다. ‘하느님의 부르심’인 성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특별히 사제, 수도자, 선교사 성소의 증진을 위한 날이다. 성소 주일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진행되던 1964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님께 일꾼들을 보내 주십사고 청하여라.”(마태 9,37-38) 하신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 정하셨다. 이날은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성소를 계발하고 키우는 일에 꾸준히 기도하고 활동하며 협력하도록 일깨우는 기회가 되고 있다.
  오늘의 전례
오늘은 부활 제4주일이며 성소 주일입니다. 기쁨과 평화의 샘이신 하느님께서는 사람의 앞날을 성자의 권능에 맡기셨습니다. 하느님께서 성령의 힘으로 우리를 붙들어 주시어, 세상 일을 하면서도 생명의 샘으로 이끄시는 좋은 목자를 떠나지 않게 해 주시기를 청합시다.
  입당송
시편 33(32),5-6 참조
주님의 자애가 온 땅에 가득하네. 주님은 말씀으로 하늘을 여셨네. 알렐루야.
  본기도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목자이신 그리스도께서 앞장서 가신 나라로 나약한 양 떼인 저희를 이끄시어 하느님과 함께 천상 기쁨을 누리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제1독서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13,14.43-52
그 무렵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14 페르게에서 더 나아가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았다.
43 많은 유다인과 유다교로 개종하여 하느님을 섬기는 이들이 따라오자,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그들에게 이야기하며
하느님의 은총에 계속 충실하라고 권하였다.
44 그다음 안식일에는 주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도시 사람들이 거의 다 모여들었다.
45 그 군중을 보고 유다인들은 시기심으로 가득 차 모독하는 말을 하며
바오로의 말을 반박하였다.
46 그러나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담대히 말하였다.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먼저 여러분에게 전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것을 배척하고
영원한 생명을 받기에 스스로 합당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니,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47 사실 주님께서 우리에게 이렇게 명령하셨습니다.
‘땅끝까지 구원을 가져다주도록 내가 너를 다른 민족들의 빛으로 세웠다.’”
48 다른 민족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기뻐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하였다.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정해진 사람들은 모두 믿게 되었다.
49 그리하여 주님의 말씀이 그 지방에 두루 퍼졌다.
50 그러나 유다인들은 하느님을 섬기는 귀부인들과 그 도시의 유지들을 선동하여,
바오로와 바르나바를 박해하게 만들고 그 지방에서 그들을 내쫓았다.
51 그들은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나서 이코니온으로 갔다.
52 제자들은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있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100(99),1-2.3.5(◎ 3ㄷ 참조)
◎ 우리는 주님의 백성, 그분 목장의 양 떼라네.
또는
◎ 알렐루야.
○ 온 세상아, 주님께 환성 올려라. 기뻐하며 주님을 섬겨라. 환호하며 그분 앞에 나아가라. ◎
○ 너희는 알아라, 주님은 하느님이시다. 그분이 우리를 지으셨으니 우리는 그분의 것, 그분의 백성, 그분 목장의 양 떼라네. ◎
○ 주님은 참으로 좋으시고, 그분 자애는 영원하시며, 그분 진실은 대대에 이르신다. ◎
  제2독서
<어린양이 그들을 돌보시고 생명의 샘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실 것이다.>
▥ 요한 묵시록의 말씀입니다.7,9.14ㄴ-17
나 요한이 9 보니, 아무도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큰 무리가 있었습니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그들은,
희고 긴 겉옷을 입고 손에는 야자나무 가지를 들고서
어좌 앞에 또 어린양 앞에 서 있었습니다.
원로 가운데 하나가 14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저 사람들은 큰 환난을 겪어 낸 사람들이다.
저들은 어린양의 피로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빨아 희게 하였다.
15 그래서 그들은 하느님의 어좌 앞에 있고
그분의 성전에서 밤낮으로 그분을 섬기고 있다.
어좌에 앉아 계신 분께서 그들을 덮는 천막이 되어 주실 것이다.
16 그들이 다시는 주리지도 목마르지도 않을 것이며
해도 그 어떠한 열기도 그들에게 내리쬐지 않을 것이다.
17 어좌 한가운데에 계신 어린양이 목자처럼 그들을 돌보시고
생명의 샘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실 것이며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환호송
요한 10,14 참조
◎ 알렐루야.
○ 주님이 말씀하신다. 나는 착한 목자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 내 양들은 나를 안다.
◎ 알렐루야.
  복음
<나는 내 양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준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27-30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27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28 나는 그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준다.
그리하여 그들은 영원토록 멸망하지 않을 것이고,
또 아무도 그들을 내 손에서 빼앗아 가지 못할 것이다.
29 그들을 나에게 주신 내 아버지께서는 누구보다도 위대하시어,
아무도 그들을 내 아버지의 손에서 빼앗아 갈 수 없다.
30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특수사목을 하고 있는 지금, 어느 본당에 미사를 부탁 받아 가게 되면 미사 전 고해성사를 하려는 신자들을 많이 봅니다. 제가 고해성사를 잘 드려서가 아닙니다. 혹여 목소리를 알아들을까 봐 본당 신부보다 손님 신부를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고 보니 오래전 제가 본당 사목을 할 때 함께 지냈던 신자들도 그랬습니다. 목소리를 감추기 위해 작은 소리로 속삭이듯 고해를 하는 신자도 있었고 할 줄도 모르는 서울말로 고해를 하는 신자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본당 신자들과 친밀하게 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임에도 고해소에서 만큼은 이 친밀감이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친할수록, 소중할수록 우리는 상대의 목소리를 알아듣게 됩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과 가까울수록, 소중할수록 우리는 그분의 목소리를 알아듣게 됩니다. 예수님의 목소리는 온갖 시련 속에서도 우리를 구해 내시는 목소리이고, 지켜 주시는 목소리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분의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그 목소리를 듣기 위해 조금 더 친밀하게 그분께 다가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보편지향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목자이신 주님, 성소 주일을 맞은 교회를 굽어살피시어, 주님의 거룩한 부르심을 따르고자 준비하는 모든 이가 믿음과 열정을 간직하며, 각자의 부르심에 기꺼이 응답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소서.

2. 세계 평화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평화의 주님, 여러 종교와 문화 속에 얽혀 있는 인류를 굽어보시어, 서로 갈등하며 맞서지 않고, 소통과 화합으로 평화로이 살아가게 하소서.

3. 스승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참스승이신 주님,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스승으로 불리는 이들을 이끌어 주시어,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며, 생각과 말과 행동에서 본보기가 되게 하소서.

4. 교구(대리구, 수도회) 공동체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사랑이신 주님, 저희 교구(대리구, 수도회) 공동체를 굽어살피시어, 저마다 자신의 자리에서 복음의 기쁨을 전하는 데 충실하며 사랑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게 하소서.
  예물 기도
주님, 이 거룩한 파스카 신비로 저희 구원을 이루시니 저희가 감사하며 드리는 이 제사가 저희에게 영원한 기쁨의 원천이 되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감사송
<부활 감사송 1 : 파스카의 신비>
주님, 언제나 주님을 찬송함이 마땅하오나 특히 그리스도께서 저희를 위하여 파스카 제물이 되신 이 밤(날, 때)에 더욱 성대하게 찬미함은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세상의 죄를 없애신 참된 어린양이시니 당신의 죽음으로 저희 죽음을 없애시고 당신의 부활로 저희 생명을 되찾아 주셨나이다.
그러므로 부활의 기쁨에 넘쳐 온 세상이 환호하며 하늘의 온갖 천사들도 주님의 영광을 끝없이 찬미하나이다.
  영성체송
착한 목자, 당신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셨네. 당신 양 떼를 위하여 돌아가시고 부활하셨네. 알렐루야.
  영성체 후 묵상
사도들은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모독하는 말을 하며 반박하는 이들 앞에서도 담대히 부활을 증언합니다. 우리도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 하신 예수님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예수님을 따르며, 우리에게 천막이 되어 주시는 하느님의 보호 아래 용감한 부활의 증인이 됩시다.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착한 목자이신 하느님, 성자의 고귀한 피로 구원하신 양 떼를 인자로이 돌보시고 하늘의 영원한 풀밭으로 이끌어 주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오늘의 묵상
오늘 성소 주일은 특별히 사제와 수도자와 선교사의 성소 증진을 위하여 교회 구성원이 모두 관심을 두고 기도하는 날입니다. 가톨릭 교회는 사제 성소와 수도 성소뿐만 아니라 혼인하여 가정을 꾸리는 것도 ‘하느님의 거룩한 부르심’(성소)으로 봅니다. 요즘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만혼과 혼인 기피, 저출산, 유아 세례 기피 현상 등이 심해지고 있어 조만간 온 교회가 혼인 성소를 위하여 기도하는 주일도 제정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거에는 수도자를 ‘성직자-수도자-평신도’로 이어지는 피라미드 형태의 교회 구조 안에 놓인 중간 신원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러나 수도자는 교회의 한 신분이라기보다는 교회의 본질이요 생명입니다. ‘주님 교회의 심장’이 되기를 간절히 바랐던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의 고백이야말로 수도자의 정체성을 잘 드러내 주는 표현입니다. 생각하고 판단하는 머리와, 분주히 움직이는 손발도 중요하지만 그곳으로 피를 보내 주는 심장이 없다면 온몸이 멈추듯 말입니다.
수도자는 현세에서 이미 하느님과 깊이 결합하여 하늘 나라를 증언하는 이들이자 하느님 사랑의 샘에서 부단히 은총과 사랑을 길어 올려 세상에 보내주는 이들입니다. 그러한 수도자들의 수가 뚜렷이 줄고 있습니다. 사랑을 깊이 맛 들인 그분들의 비춤이 없다면 누가 희생하고 봉사하려 할까요? 복사 아이들을 격려해서 사제로 키워 내고, 그들이 사랑과 열정에 불타 이역만리에 선교사로 나서게 한 데에는 수많은 수도자의 땀방울과 기도가 있습니다. 수도 성소를 위하여 우리 모두 힘껏 기도합시다.
(김동희 모세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