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 기념일
이냐시오 데 로욜라 성인은 1491년 에스파냐 칸타브리아의 로욜라에서 태어났다. 군인이 된 그는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치료받다가 현세의 허무함을 느끼고 깊은 신앙 체험을 하였다. 늦은 나이에 신학 공부를 시작한 이냐시오는 마흔여섯 살에 사제품을 받았다. 이후 동료들과 함께 예수회를 설립하여 오랫동안 총장직을 맡았다. 그는 『영신 수련』 등 많은 저술과 교육으로 사도직을 수행하였으며, 교회 개혁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1556년 로마에서 선종하였고, 1622년 그레고리오 13세 교황께서 그를 시성하셨다.
입당송
필리 2,10-11
예수님의 이름 앞에 하늘과 땅 위와 땅 아래에 있는 자들이 다 무릎을 꿇고, 예수 그리스도는 주님이시라고 모두 고백하며, 하느님 아버지께 영광을 드리네.
본기도
하느님, 하느님의 더 큰 영광을 널리 전하도록 복된 이냐시오를 교회에 보내 주셨으니 그의 도움으로 저희가 그를 본받아 이 세상에서 복음을 위하여 열심히 싸우고 마침내 하늘 나라에서 그와 함께 승리의 월계관을 받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
제1독서
<구름이 만남의 천막을 덮고 주님의 영광이 성막에 가득 찼다.>
▥ 탈출기의 말씀입니다.40,16-21.34-38
그 무렵 16 모세는 주님께서 명령하신 대로 다 하였다.
17 마침내 둘째 해 첫째 달 초하룻날에 성막이 세워졌다.
18 모세는 성막을 세우는데, 먼저 밑받침을 놓은 다음
널빤지를 맞추고 가로다지를 끼운 뒤, 기둥을 세웠다.
19 또 성막 위로 천막을 치고 천막 덮개를 그 위에 씌웠다.
이는 주님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였다.
20 그런 다음 증언판을 가져다 궤 안에 놓았다.
그 궤에 채를 끼우고 궤 위에 속죄판을 덮었다.
21 또 궤를 성막 안에 들여놓고 칸막이 휘장을 쳐서 증언 궤를 가렸다.
이는 주님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였다.
34 그때에 구름이 만남의 천막을 덮고 주님의 영광이 성막에 가득 찼다.
35 모세는 만남의 천막 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구름이 그 천막 위에 자리 잡고
주님의 영광이 성막에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
36 이스라엘 자손들은 그 모든 여정 중에,
구름이 성막에서 올라갈 때마다 길을 떠났다.
37 그러나 구름이 올라가지 않으면, 그 구름이 올라가는 날까지 떠나지 않았다.
38 그 모든 여정 중에 이스라엘의 온 집안이 보는 앞에서,
낮에는 주님의 구름이 성막 위에 있고,
밤에는 불이 그 구름 가운데에 자리를 잡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84(83),3.4.5와 6과 8ㄱ.11(◎ 2)
◎ 만군의 주님, 당신 계신 곳 사랑하나이다!
○ 주님의 뜨락을 그리워하며, 이 영혼 여위어 가나이다. 살아 계신 하느님을 향하여, 이 몸과 이 마음 환성을 올리나이다. ◎
○ 당신 제단 곁에 참새도 집을 짓고, 제비도 둥지를 틀어, 거기에 새끼를 치나이다. 만군의 주님, 저의 임금님, 저의 하느님! ◎
○ 행복하옵니다, 당신 집에 사는 이들! 그들은 영원토록 당신을 찬양하리이다. 행복하옵니다, 당신께 힘을 얻는 사람들! 그들은 더욱더 힘차게 나아가리이다. ◎
○ 당신 뜨락에서 지내는 하루가, 다른 천 날보다 더 좋사옵니다. 하느님의 집 문간에 서 있기가, 악인의 천막 안에 살기보다 더 좋사옵니다. ◎
복음 환호송
사도 16,14 참조
◎ 알렐루야.
○ 주님, 저희 마음을 열어 주시어 당신 아드님 말씀에 귀 기울이게 하소서.
◎ 알렐루야.
복음
<좋은 것들은 그릇에 담고 나쁜 것들은 밖으로 던져 버렸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3,47-53
그때에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셨다.
47 “하늘 나라는 바다에 던져 온갖 종류의 고기를 모아들인 그물과 같다.
48 그물이 가득 차자 사람들이 그것을 물가로 끌어 올려놓고 앉아서,
좋은 것들은 그릇에 담고 나쁜 것들은 밖으로 던져 버렸다.
49 세상 종말에도 그렇게 될 것이다.
천사들이 나가 의인들 가운데에서 악한 자들을 가려내어,
50 불구덩이에 던져 버릴 것이다.
그러면 그들은 거기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다.
51 너희는 이것들을 다 깨달았느냐?”
제자들이 “예!” 하고 대답하자, 5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그러므로 하늘 나라의 제자가 된 모든 율법 학자는
자기 곳간에서 새것도 꺼내고 옛것도 꺼내는 집주인과 같다.”
53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들을 다 말씀하시고 나서 그곳을 떠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또는, 기념일 독서(1코린 10,31―11,1)와 복음(루카 14,25-33)을 봉독할 수 있다.>
복음 묵상
하늘 나라에 대해 말하려 할 때마다, 우리는 행복, 기쁨, 영광 등등의 단어를 떠올리게 됩니다. 그만큼 현대인에게 하늘 나라는 지상에서 얻지 못한 천상의 선물로 여겨지는 까닭이겠지요. 오늘 복음은 하늘 나라를 그물에 빗대어 설명하는데, 그물에 걸린 온갖 고기는 좋은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갈라지는 운명에 맞닥뜨립니다. 천상의 행복과 기쁨을 얻기 위해 좋은 물고기가 되어야 한다는 교훈적 가르침엔 이견이 없을 텐데, 삶에 대한 기억은 대체로 나쁜 물고기 쪽이 훨씬 많은 듯합니다. 그렇게 우리는 교훈이 필요할지 모를 일입니다. 내게 좋은 것만 떠올리면 하늘 나라의 준엄함을 잊을 테니, 가끔씩 정신이 바짝 드는 말씀 한마디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너희는 이것들을 다 깨달았느냐?”
예물 기도
주 하느님, 복된 이냐시오를 기리며 바치는 이 제물을 받으시어 모든 거룩함의 샘인 이 성사로 저희를 거룩하게 하시고 진리로 이끄소서. 우리 주 …….
영성체송
루카 12,49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나는 세상에 불을 지르러 왔다. 그 불이 이미 타올랐으면 얼마나 좋으랴?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복된 이냐시오를 기리며 이 찬미의 제사로 감사를 드리고 비오니 저희가 영원토록 주님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하늘 나라는 온갖 종류의 고기가 들어 있는 그물과 같습니다. 주님께서 몸소 일러 주시듯이 세상과 공동체 안에는 ‘좋은 것’인 의인들과 ‘나쁜 것’인 악인들이 있습니다. 이 비유를 우리 내면에 적용한다면 우리 안에도 선함과 의로움 같은 것이 있고, 악의와 악습 같은 것도 있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세상이든 내 안이든 나쁜 것은 다 없애고 좋은 것만 남겨 두고 싶습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둘 다 있게 하십니다. 여기서 모두를 포용하시는 하느님의 너그러우심이 드러납니다.
하느님께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같이 놓아두시지는 않고 가려내시어 저마다 걸맞은 장소에 두심은 그분의 의로우심을 나타냅니다. 우리가 세상을 바라볼 때 저마다 우리 자신을 바라볼 때 다양한 면을 모두 인정하고 품는다면, 그 자체로 덕을 넘어서 하느님을 닮는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의인들 가운데에서 악한 자들을 가려내어”(마태 13,49)라고 말씀하시면서 의인들에게 초점을 두시는 것처럼, 우리도 모든 것을 품더라도 좋은 것에 시선을 두어야 합니다. 그것이 주님을 닮아 가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내 안에 무엇을 담고 버릴지 식별한다면 그 자체로 주님을 닮아 갈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어부가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구별하고자 그물을 물가로 끌어올려 놓듯이, 우리도 숨은 생각과 감정을 밖으로 꺼내 놓아 마주해야 합니다. 그 생각과 시선과 행동이 늘 그분을 닮기를 바랍니다.
(김태훈 리푸죠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