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성인은 1894년 폴란드 즈둔스카볼라에서 태어났다. 열네 살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입회하여, 1917년 성모 신심 단체인 ‘성모 기사회’를 설립하였다. 이듬해 로마에서 사제품을 받은 콜베 신부는 평생을 선교사로 살아가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였을 때 체포되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갇혔다. 그곳에서 수감자 한 명이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수용소에서는 한 명이 탈출하면 열 명을 지목하여 처형하는 규칙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목된 열 명 가운데 한 사람이 자기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울부짖자 콜베 신부가 그를 대신하겠다며 나섰다. 결국 콜베 신부는 다른 아홉 명과 함께 굶겨 죽이는 아사형을 받고 1941년 지하 감방에 갇혀 세상을 떠났다. 1982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 그를 ‘자비의 순교자’라 부르시며 시성하셨다.
입당송
마태 25,34.40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내 아버지께 복을 받은 이들아, 오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가장 작은 내 형제 하나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
본기도
하느님, 거룩한 순교자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사제가 티 없이 깨끗하신 동정녀를 열렬히 사랑하여 영혼들을 돌보며 이웃을 사랑하게 하셨으니 그의 전구를 들으시어 저희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언제나 이웃에게 봉사하며 죽기까지 성자를 닮게 하소서. 성자께서는 성부와 …….
제1독서
<주님의 계약 궤가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 여호수아기의 말씀입니다.3,7-10ㄱㄴㄹ.11.13-17
그 무렵 7 주님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셨다.
“오늘 내가 온 이스라엘이 보는 앞에서 너를 높여 주기 시작하겠다.
그러면 내가 모세와 함께 있어 준 것처럼
너와도 함께 있어 준다는 것을 그들이 알게 될 것이다.
8 너는 계약 궤를 멘 사제들에게, ‘요르단 강 물가에 다다르거든
그 요르단 강에 들어가 서 있어라.’ 하고 명령하여라.”
9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말하였다.
“이리 가까이 와서 주 너희 하느님의 말씀을 들어라.”
10 여호수아가 말을 계속하였다. “이제 일어날 이 일로써,
살아 계신 하느님께서 너희 가운데에 계시면서,
가나안족을 너희 앞에서 반드시 쫓아내시리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11 자, 온 땅의 주인이신 분의 계약 궤가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13 온 땅의 주인이신 주님의 궤를 멘 사제들의 발바닥이 요르단 강 물에 닿으면,
위에서 내려오던 요르단 강 물이 끊어져 둑처럼 멈추어 설 것이다.”
14 백성이 요르단을 건너려고 자기들의 천막에서 떠날 때에,
계약 궤를 멘 사제들이 백성 앞에 섰다.
15 드디어 궤를 멘 이들이 요르단에 다다랐다.
수확기 내내 강 언덕까지 물이 차 있었는데,
궤를 멘 사제들이 요르단 강 물가에 발을 담그자,
16 위에서 내려오던 물이 멈추어 섰다.
아주 멀리 차르탄 곁에 있는 성읍 아담에 둑이 생겨,
아라바 바다, 곧 ‘소금 바다’로 내려가던 물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다.
그래서 백성은 예리코 맞은쪽으로 건너갔다.
17 주님의 계약 궤를 멘 사제들이
요르단 강 한복판 마른땅에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동안,
온 이스라엘이 마른땅을 밟고 건너서, 마침내 온 겨레가 다 건너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114(113 상),1-2.3-4.5-6
◎ 알렐루야.
○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나올 때, 야곱 집안이 낯선 말 하는 민족을 떠날 때, 유다는 그분의 성소가 되고, 이스라엘은 그분의 나라가 되었네. ◎
○ 바다가 보고 달아났으며, 요르단이 뒤로 돌아섰네. 산들은 숫양처럼 뛰어다니고, 언덕들은 어린양처럼 뛰놀았네. ◎
○ 바다야, 너 어찌 달아나느냐? 요르단아, 어찌 뒤로 돌아서느냐? 산들아, 어찌 숫양처럼 뛰어다니고, 언덕들아, 어찌 어린양처럼 뛰노느냐? ◎
복음 환호송
시편 119(118),135
◎ 알렐루야.
○ 당신 얼굴 이 종에게 빛나게 하시고 당신 법령을 저에게 가르쳐 주소서.
◎ 알렐루야.
복음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8,21─19,1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19,1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들을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요르단 건너편 유다 지방으로 가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또는, 기념일 독서(지혜 3,1-9 또는 1요한 3,13-18)와 복음(요한 15,9-17)을 봉독할 수 있다.>
복음 묵상
‘만’이라는 숫자를 가리키는 그리스말은 ‘뮈로온’이다. 셈을 할 수 있는 숫자가 아니라 셈을 할 수 없다는 ‘은유의 장치’로 이해되는 말마디다. 만 탈렌트를 굳이 셈을 하자면, 이십만 노동자가 일 년 동안 일해서 벌어들인 총액과 맞먹는다. 임금의 셈은 정확했으나 종은 그 셈법 앞에 무력했다.
현실의 셈은 불가능에 가까웠고, 임금은 불가능의 일을 ‘가엾은 마음’ 하나로 해결해 버린다. ‘가엾은 마음’, 곧 ‘스플랑크니조마이’라는 그리스말 동사는 예수님의 ‘가엾은 마음’을 이야기할 때도 사용되었다.
믿는 일은 가엾은 마음을 지니는 일이기도 하겠다. 시시비비를 가리고 가리다 서로가 갈라서고 잃어버리는 일이 무수한 인생 안에 믿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잇는 ‘친교’의 길을 걷는 일이다. 가엾은 마음 하나로 우리는 끝내 서로를 만나야 한다.
예물 기도
주님, 이 예물을 바치며 간절히 비오니 저희가 거룩한 막시밀리아노 마리아를 본받아 저희 삶을 주님께 봉헌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영성체송
요한 15,13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친구들을 위하여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성자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고 비오니 거룩한 막시밀리아노 마리아가 이 성찬례에서 받은 사랑이 저희 안에서 불타올라 저희도 형제를 위하여 목숨을 바치게 하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성경에서 ‘일곱’은 완성의 숫자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창조하신 뒤 일곱째 날 쉬셨고, 노아는 방주에 정결한 짐승을 일곱 쌍씩 태웠으며, 그 방주는 일곱째 달에 아라랏산에 도착합니다. 아브라함은 아비멜렉과 계약을 맺을 때 어린 암양 일곱 마리를 따로 떼어 놓았고, 야곱은 에사우에게 다가갈 때 일곱 번 땅에 엎드려 절하였으며, 요셉의 꿈풀이에서 일곱이라는 숫자는 구원을 상징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형제를 몇 번이나 용서해야 하느냐는 베드로의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일흔일곱 번”(마태 18,22)까지라도 용서하라고 답하십니다. 이 ‘일흔일곱 번’이라는 말은 구약 성경에도 나오는데(창세 4,24 참조) 히브리 말과 그리스 말 성경의 번역 차이로 ‘일흔 번씩 일곱 번’으로도 풀이됩니다. 중요한 것은 형제를 용서할 때 횟수를 세지 말고 완성에 완성을 거듭한 숫자, 곧 한없이 용서하라는 뜻입니다.
이어지는 매정한 종의 비유에서는 “만 탈렌트”(마태 18,24)와 “백 데나리온”(18,28)이 대조를 이룹니다. 한 탈렌트는 육천 데나리온인데, 한 데나리온이 일꾼의 하루 품삯에 해당하므로 이는 육천 일, 곧 열여섯 해 이상 일한 일꾼이 받는 하루 품삯의 총액입니다. 만 탈렌트는 그것의 일만 곱절이니 상상할 수 없는 천문학적 액수입니다. 반면 백 데나리온은 일꾼의 백일 치 품삯에 지나지 않습니다.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도 용서하였듯이, 저희 잘못을 용서하시고”(6,12)라는 ‘주님의 기도’의 청원을 떠올리는 대목입니다.
마태오 공동체가 고백하는 용서에 관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그대로 실천할 수 있을까요? 많이 사랑받은 이는 많이 사랑할 수 있고, 많이 용서받은 이는 많이 용서할 수 있습니다. 사랑과 용서와 자비 앞에 붙는 숫자는 상대적이기 마련입니다.
(김상우 바오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