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 복음묵상
[녹] 연중 제22주일
  복음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4,1.7-14
1 예수님께서 어느 안식일에
바리사이들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의 집에 가시어
음식을 잡수실 때 일이다.
그들이 예수님을 지켜보고 있었다.
7 예수님께서는 초대받은 이들이 윗자리를 고르는 모습을 바라보시며
그들에게 비유를 말씀하셨다.
8 “누가 너를 혼인 잔치에 초대하거든 윗자리에 앉지 마라.
너보다 귀한 이가 초대를 받았을 경우,
9 너와 그 사람을 초대한 이가 너에게 와서,
‘이분에게 자리를 내드리게.’ 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너는 부끄러워하며 끝자리로 물러앉게 될 것이다.
10 초대를 받거든 끝자리에 가서 앉아라.
그러면 너를 초대한 이가 너에게 와서,
‘여보게, 더 앞 자리로 올라앉게.’ 할 것이다.
그때에 너는 함께 앉아 있는 모든 사람 앞에서 영광스럽게 될 것이다.
11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12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초대한 이에게도 말씀하셨다.
“네가 점심이나 저녁 식사를 베풀 때,
네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마라.
그러면 그들도 다시 너를 초대하여 네가 보답을 받게 된다.
13 네가 잔치를 베풀 때에는
오히려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여라.
14 그들이 너에게 보답할 수 없기 때문에 너는 행복할 것이다.
의인들이 부활할 때에 네가 보답을 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초대를 받거든 끝자리에 가서 앉아라.” ‘높아지고 싶은 마음’, ‘인정받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욕구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좀 더 높아지려 애를 씁니다. 그런데 높아지는 것의 기준은 언제나 그때그때 내 옆에 있는 다른 사람입니다. 다시 말해 그 기준이 늘 변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마음은 조급해지고 모든 상황에서 타인과 비교하게 됩니다. 결국 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기쁨과 행복도 상대방과의 비교를 통해서 일시적으로 주어지는 감정이 되어 버립니다.
반면 끝자리에 앉는 겸손한 마음은 우리를 자유롭게 합니다. 그들에게 있어 곁에 있는 사람은 배려의 대상이지 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래서 매 순간 언제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이들이 얻게 되는 기쁨과 행복 역시 비교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불안해지지 않습니다. 
살다가 힘들고 지치면, 왠지 아무도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 같고 나만 소외된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는 ‘왜 나는 항상 끝자리에 앉아 있는 걸까?’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하지만 절대 잘못 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잠시 지쳤을 뿐입니다. 조금만 더 견디다 보면 예수님께서 “나와 함께 앞 자리로 올라가자.”고 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