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복음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멸망할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3,1-9
1 그때에 어떤 사람들이 와서, 빌라도가 갈릴래아 사람들을 죽여
그들이 바치려던 제물을 피로 물들게 한 일을 예수님께 알렸다.
2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그 갈릴래아 사람들이 그러한 변을 당하였다고 해서
다른 모든 갈릴래아 사람보다 더 큰 죄인이라고 생각하느냐?
3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처럼 멸망할 것이다.
4 또 실로암에 있던 탑이 무너지면서 깔려 죽은 그 열여덟 사람,
너희는 그들이 예루살렘에 사는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큰 잘못을 하였다고 생각하느냐?
5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렇게 멸망할 것이다.”
6 예수님께서 이러한 비유를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자기 포도밭에 무화과나무 한 그루를 심어 놓았다.
그리고 나중에 가서 그 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았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였다.
7 그래서 포도 재배인에게 일렀다.
‘보게, 내가 삼 년째 와서
이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네.
그러니 이것을 잘라 버리게. 땅만 버릴 이유가 없지 않은가?’
8 그러자 포도 재배인이 그에게 대답하였다.
‘주인님, 이 나무를 올해만 그냥 두시지요.
그동안에 제가 그 둘레를 파서 거름을 주겠습니다.
9 그러면 내년에는 열매를 맺겠지요.
그러지 않으면 잘라 버리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오늘 복음의 전반부에서 예수님께서는 빌라도의 갈릴래아 학살 사건과 실로암 탑이 무너진 사건을 언급하시면서 그 두 사건의 희생자가 결코 죄가 많아서 죽은 것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회개하지 않는 이들이 하느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복음의 후반부에서는 열매를 맺지 못하는 무화과나무 이야기가 나옵니다. 주인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무화과나무를 잘라 버리려 하지만 재배인의 간청으로 한 번의 기회를 더 얻게 됩니다. 무화과나무가 열매를 맺어야만 하는 것처럼, 우리들 역시 세상에서 각자의 열매를 맺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가 세상에서 맺어야 하는 열매란 무엇인가? 오늘 복음의 전체 내용을 함께 바라보면, 그 열매란 결국 회개의 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그 어떤 열매보다도 회개의 열매를 바라십니다. 회개의 순간이 모든 믿음의 시작이며 완성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회개의 열매는 우리가 맺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열매들의 필연적인 밑거름이자 뿌리일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