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 기념일
엘리사벳 성녀는 1207년 헝가리에서 공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신심이 깊었던 그는 남부럽지 않게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참회와 고행의 생활을 하며 많은 사람에게 자선을 베풀었다. 그는 남편이 전쟁에서 사망하자 재속 프란치스코회에 들어가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고 병원을 세워 직접 병자들을 돌보았다. 1231년 스물네 살에 선종한 그는 자선 사업의 수호성인이자,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입당송
마태 25,34.36.40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내 아버지께 복을 받은 이들아, 오너라. 너희는 내가 병들었을 때에 돌보아 주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가장 작은 내 형제 하나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 준 것이다.
<또는>
시편 112(111),9
그는 가난한 이에게 넉넉히 나누어 주니, 그의 의로움은 길이 이어지고, 그의 뿔은 영광 속에 높이 들리리라.
본기도
하느님, 복된 엘리사벳에게 가난한 이들 안에서 그리스도를 알아보고 공경하게 하셨으니 그의 전구를 들으시어 저희도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한결같은 사랑으로 섬기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
제1독서
<크나큰 진노가 이스라엘 위에 내렸다.>
▥ 마카베오기 상권의 말씀입니다.1,10-15.41-43.54-57.62-64
그 무렵 10 죄의 뿌리가 나왔는데,
그가 안티오코스 임금의 아들로서 로마에 인질로 잡혀갔던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이다. 그는 그리스 왕국 백삼십칠년에 임금이 되었다.
11 그 무렵에 이스라엘에서 변절자들이 생겨 많은 이들을 이러한 말로 꾀었다.
“자, 가서 우리 주변의 민족들과 계약을 맺읍시다.
그들을 멀리하고 지내는 동안에 우리는 재난만 숱하게 당했을 뿐이오.”
12 이 말이 마음에 들어, 13 백성 가운데 몇 사람이 임금에게 기꺼이 나아가자,
그는 그들에게 이민족들의 규정을 따라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14 그리하여 그들은 이민족들의 풍습에 따라 예루살렘에 경기장을 세우고,
15 할례 받은 흔적을 없애고 거룩한 계약을 저버렸다.
이렇게 그들은 이민족들과 한통속이 되어 악을 저지르는 데에 열중하였다.
41 임금은 온 왕국에 칙령을 내려, 모두 한 백성이 되고
42 자기 민족만의 고유한 관습을 버리게 하였다.
이민족들은 모두 임금의 말을 받아들였다.
43 이스라엘에서도 많은 이들이 임금의 종교를 좋아하여,
우상들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고 안식일을 더럽혔다.
54 백사십오년 키슬레우 달 열닷샛날,
안티오코스는 번제 제단 위에 황폐를 부르는 혐오스러운 것을 세웠다.
이어서 사람들이 주변의 유다 성읍들에 제단을 세우고,
55 집 대문이나 거리에서 향을 피웠다.
56 율법서는 발견되는 대로 찢어 불태워 버렸다.
57 계약의 책을 가지고 있다가 들키거나 율법을 따르는 이는
누구든지 왕명에 따라 사형에 처하였다.
62 그러나 이스라엘에는 부정한 것을 먹지 않기로 굳게 결심한 이들도 많았다.
63 그들은 음식으로 더럽혀지거나 거룩한 계약을 모독하느니
차라리 죽기로 작정하였다. 그리고 그렇게 죽어 갔다.
64 크나큰 진노가 이스라엘 위에 내린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119(118),53.61.134.150.155.158(◎ 88 참조)
◎ 주님, 저를 살려 주소서. 당신 법을 지키리이다.
○ 악인들 때문에 분노가 치미나이다. 그들은 당신 가르침을 저버렸나이다. ◎
○ 죄인들의 올가미가 저를 휘감아도, 저는 당신 가르침을 잊지 않았나이다. ◎
○ 사람들의 억압에서 저를 구하소서. 저는 당신 규정을 지키리이다. ◎
○ 당신 가르침을 멀리하는 저들, 사악한 박해자들이 다가왔나이다. ◎
○ 악인들은 당신 법령을 따르지 않았기에, 저들에게는 구원이 멀리 있나이다. ◎
○ 당신 말씀을 지키지 않는 저들, 그 배신자들 보며 저는 역겨워하나이다. ◎
복음 환호송
요한 8,12 참조
◎ 알렐루야.
○ 주님이 말씀하신다.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르는 이는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 알렐루야.
복음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느냐? 주님,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8,35-43
35 예수님께서 예리코에 가까이 이르셨을 때의 일이다.
어떤 눈먼 이가 길가에 앉아 구걸하고 있다가,
36 군중이 지나가는 소리를 듣고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37 사람들이 그에게 “나자렛 사람 예수님께서 지나가신다.” 하고 알려 주자,
38 그가 “예수님, 다윗의 자손이시여,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하고 부르짖었다.
39 앞서 가던 이들이 그에게 잠자코 있으라고 꾸짖었지만,
그는 더욱 큰 소리로
“다윗의 자손이시여,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하고 외쳤다.
40 예수님께서 걸음을 멈추시고 그를 데려오라고 분부하셨다.
그가 가까이 다가오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물으셨다.
41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해 주기를 바라느냐?”
그가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하였다.
42 예수님께서 그에게 “다시 보아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하고 이르시니,
43 그가 즉시 다시 보게 되었다. 그는 하느님을 찬양하며 예수님을 따랐다.
군중도 모두 그것을 보고 하느님께 찬미를 드렸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또는, 기념일 독서(1요한 3,14-18)와 복음(루카 6,27-38)을 봉독할 수 있다.>
복음 묵상
“다윗의 자손”은 유다 전통에서 메시아를 일컫는 표현이다. 눈먼 이가 이 표현을 외치며 생각한 메시아는 어떤 존재일까, 해방자일까, 치유자일까. 현자일까, 스승일까 아니면 그 전부일까. 그를 소리치게 했던 메시아가 어떤 존재인지 우리는 다 헤아릴 수 없지만 그 외침으로 그의 삶이 어떻게 변했는지는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을 앉은자리에 묶어 두던 신체적 조건에서 벗어나 사람들이 다니던 길 위로 돌아왔고, 그 속에서 예수님을 따라 떠나갔다.
신앙의 길 위에서 자문한다. 나는 어떤 메시아를 갈구하는지, 그 메시아 이미지를 통해 주님께 무엇을 청하고 있는지, 답변은 제각각이겠으나 그 마지막 모습만큼은 오늘 복음의 눈먼 이와 같은 것이기를 바라본다. 주님은 눈먼 이의 필요를 채워 주셨고, 그렇게 채워진 갈망은 제자의 길을 걸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 주었다. 이처럼 주님께 청하는 우리 갈망은 주님을 따르는 모습으로 이어져야 한다.
보고 싶은 것이 많았을 눈먼 이는 빛을 찾은 이후, 딴 데로 눈길을 돌리지 않고 즉시 예수님을 따라나섰다. 우리 또한 그럴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게 떠날 줄 아는 모습이야말로 진정 새로운 삶이고, 믿음을 통해 구원받은 삶이 아닐까. 오늘 하루가 그 삶의 순간이길 기도한다.
예물 기도
주님, 성자의 무한하신 사랑의 업적을 기리며 바치는 이 예물을 받으시고 저희가 복된 엘리사벳을 본받아 주님과 이웃을 더욱 열심히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영성체송
요한 15,13
친구들을 위하여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또는>
요한 13,35 참조
주님이 말씀하신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모든 사람이 보고 너희가 내 제자임을 알게 되리라.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저희가 거룩한 신비로 힘을 얻고 비오니 복된 엘리사벳을 본받아 정성을 다하여 주님을 섬기며 주님의 백성을 힘껏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 주 …….
<또는>
주님, 구원의 잔치에서 성체를 받아 모시고 비오니 저희를 어여삐 여기시어 저희가 복된 엘리사벳의 사랑을 본받아 그와 함께 주님의 영광에 참여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유명 관광지를 여행하다 보면 관광 체험 상품 가운데 ‘마차 투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마차를 끄는 말의 두 눈 좌우에 작은 가리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양옆의 변화를 보지 못하게 하여 말이 달리는 도중에 놀라는 것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가게 하려는 것이랍니다. 어쩌면 우리 또한 비슷하게 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두루 살피기보다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 하면서 말이지요.
우리는 신앙으로 ‘눈을 뜬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사랑이 인류의 역사 곳곳에 배어 있음을, 우리의 삶 곳곳을 꿰뚫고 있음을 보게 된 것이지요.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우리의 완고함을 꿰뚫어 주변에 고통받고 상처받아 도움을 간절히 바라는 이웃들이 있음을 보게 된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겪은 신앙의 사건이요 눈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리코의 눈먼 이는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루카 18,41)라고 간청합니다. ‘다시’라는 말이 아프게 다가옵니다. 오늘 독서인 마카베오기 상권에는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 임금 시절 하느님 백성인 이스라엘의 변절과 불충실이 자세히 적혀 있습니다. 그들은 이민족들을 부러워하여 거룩한 계약과 그들만의 고유한 관습을 저버린 채 이민족들과 한통속이 되어 온갖 악을 저지르고 이방의 우상들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고 안식일을 더럽힙니다.
세상에 대한 관대함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잃은 채 퇴색되고 변질되어 가는 그들의 모습은 우리의 자화상일지도 모릅니다. 오늘 저도 예리코의 눈먼 이를 따라 예수님께 간청합니다. “주님, 제가 다시 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김동희 모세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