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이날은 동방 교회의 신자들과 함께, 성모님께서 원죄 없이 잉태되실 때 은총을 가득히 채워 주신 그 성령의 감도로 성모님께서 아기 때부터 하느님께 봉헌되신 것을 기리는 날이다. 성모님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는 성모님께서 세 살 되시던 해에 성전에서 하느님께 성모님을 바쳤다고 전해 온다. 이날은 본디 6세기 중엽 예루살렘 성전 가까이에 세워진 새로운 성모 성당의 봉헌을 기념하는 날이었는데, 1472년 식스토 4세 교황께서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로 선포하셨다.
입당송
거룩하신 어머니, 찬미받으소서. 당신은 하늘과 땅을 영원히 다스리시는 임금님을 낳으셨나이다.
본기도
주님, 지극히 거룩하신 동정 마리아를 영광스럽게 기념하며 공경하오니 저희가 그분의 전구로 주님께 풍성한 은총을 받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
제1독서
<딸 시온아, 즐거워하여라. 내가 이제 가서 머무르리라.>
▥ 즈카르야 예언서의 말씀입니다.2,14-17
14 “딸 시온아, 기뻐하며 즐거워하여라.
정녕 내가 이제 가서 네 한가운데에 머무르리라.
주님의 말씀이다.
15 그날에 많은 민족이 주님과 결합하여 그들은 내 백성이 되고
나는 그들 한가운데에 머무르리라.”
그때에 너는 만군의 주님께서 나를 너에게 보내셨음을 알게 되리라.
16 주님께서는 이 거룩한 땅에서 유다를 당신 몫으로 삼으시고
예루살렘을 다시 선택하시리라.
17 모든 인간은 주님 앞에서 조용히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의 거룩한 처소에서 일어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루카 1,46ㄴ-47.48-49.50-51.52-53.54-55
◎ 영원하신 성부의 아드님을 잉태하신 동정 마리아는 복되시다!
○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고, 내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내 마음 기뻐 뛰노네. ◎
○ 그분은 비천한 당신 종을 굽어보셨네. 이제부터 과연 모든 세대가 나를 복되다 하리라. 전능하신 분이 나에게 큰일을 하셨으니, 그 이름은 거룩하신 분이시다. ◎
○ 그분 자비는 세세 대대로, 그분을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미치리라. 그분은 당신 팔로 권능을 떨치시어, 마음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네. ◎
○ 권세 있는 자를 자리에서 내치시고, 비천한 이를 들어 올리셨네. 굶주린 이를 좋은 것으로 채워 주시고, 부유한 자를 빈손으로 돌려보내셨네. ◎
○ 당신 자비를 기억하시어, 당신 종 이스라엘을 돌보셨으니,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아브라함과 그 후손에게 그분의 자비 영원하리라. ◎
복음 환호송
루카 11,28 참조
◎ 알렐루야.
○ 하느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이들은 행복하여라.
◎ 알렐루야.
복음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2,46-50
그때에 46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고 계시는데,
그분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그분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있었다.
47 그래서 어떤 이가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이
스승님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48 그러자 예수님께서 당신께 말한 사람에게,
“누가 내 어머니고 누가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49 그리고 당신의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50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옛사람들이 자신을 소개할 때, 자신의 가문이나 자신의 고향을 밝히는 것이 예의이자 상식이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소속된 가문과 출신지가 굉장히 중요했다는 말이겠지요. 때문에 자신의 가문에 속한 사람이, 사회적으로 도드라지는 행동을 했을 때, 그를 찾는 일은 지금보다 훨씬 중요했을 겁니다. 예수님께 호의적인 사람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으므로, 예수님의 가족은 예수님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또 무엇인가 탐탁치 않은 마음으로 찾아온 것이겠지요.
예수님은 가족들을 만나주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가족이나 출신이 아니라 말씀하셨습니다. “이들이 내 어머니이고 내 형제들이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이다.” 나를 규정하는 것은 가족과 출신지가 아니라,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라는 말씀. 현대인에게 너무나도 당연한 이 말씀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놀라운 이야기였을 겁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시 사회 규준을 혁명적으로 뒤집어 내는 분이셨습니다. 주님의 말씀에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예물 기도
주님, 주님 백성의 기도와 희생 제물을 받으시고 성자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들으시어 봉헌하는 이는 모두 은총을 받고 청원하는 이는 모두 응답을 얻게 하소서. 우리 주 …….
<또는>
주님, 동정녀에게서 태어나신 성자께서 어머니의 순결을 손상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거룩하게 하셨으니 저희가 성자의 인성으로 도움을 받고 죄에서 벗어나 주님 마음에 드는 제물을 바치게 하소서. 우리 주 …….
감사송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감사송 1 : 어머니이신 마리아>
거룩하신 아버지,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주 하느님,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하고 복되신 평생 동정 마리아 ( ) 축일에 아버지를 찬송하고 찬양하고 찬미함은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성모님께서는 성령으로 외아들을 잉태하시고 동정의 영광을 간직한 채 영원한 빛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이 세상에 낳으셨나이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천사들이 주님의 위엄을 찬미하고 주품천사들이 흠숭하며 권품천사들이 두려워하고 하늘 위 하늘의 능품천사들과 복된 세라핌이 다 함께 예배하며 환호하오니 저희도 그들과 소리를 모아 삼가 주님을 찬양하나이다.
영성체송
루카 11,27 참조
영원하신 아버지의 아들을 잉태하신 동정 마리아의 모태는 복되시나이다.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인자하신 주님, 천상 성사를 받고 간절히 비오니 동정 마리아를 기리는 저희가 그분을 본받아 님을 충실히 섬기며 구원의 신비에 참여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오늘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입니다. 요아킴과 안나가 성모님께서 세 살 되시던 해에 성전에서 하느님께 성모님을 바친 것을 기리는 날입니다.
아들이나 딸을 하느님께 봉헌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다른 집 아들딸들이 사제나 수도자의 길을 간다고 하면 축복받았다고 말하다가도 정작 자신의 자녀가 그 길을 가겠다고 하면 대다수가 펄쩍 뜁니다. 제 경우에도 그러하였습니다. 신학교에 들어가기 전 밤새워 가족회의를 하였습니다. 제 편을 들어 주는 이는 하나도 없었고, 넉넉한 살림은 아니어도 서로 의지하며 행복하게 살자며 저를 붙잡았습니다. 저는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습니다. 새벽녘이 되어서야 아버지가 신학교 입학을 허락하셨습니다. 입을 꾹 다문 채 눈물만 흘리며 버티는 저의 모습을 보시고 사람이 하는 일 같지 않음을, 범상치 않음을 느끼셨다고 하셨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어머니와 형제들이 당신을 찾아왔지만 “누가 내 어머니고 누가 내 형제들이냐?”(마태 12,48)라고 반문하시고는 당신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말씀하십니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12,49-50).
이렇게 말씀하시면서 예수님께서는 공생활 처음에 지니셨던 봉헌의 마음을 새롭게 하셨겠지요. 성모님께서도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에 하느님의 뜻을 곰곰이 헤아리시며, 아들 예수님을 다시 하느님께 봉헌하셨으리라 여겨집니다. 봉헌은 한 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침 기도 때 바치는 봉헌 기도처럼 두고두고 해야 할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김동희 모세 신부)